본문 바로가기
ㅁ 생생정보 & 뉴스

60대가 펫 시장을 바꾼다! 3년 새 60% ↑…반려동물 소비의 새로운 주역은 ‘노년층’

by 마르지 않는 샘물 2025. 6. 7.

최근 3년간 반려동물 소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.
놀랍게도 그 중심에는 20~30대가 아닌 60대 이상 고령층이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
KB국민카드가 354만 명의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,
2021년부터 2024년까지 반려동물 업종의 카드 이용 금액이 30%나 증가했고,
60대 이상은 무려 60% 증가율을 보이며 가장 가파른 소비 성장을 기록했습니다.

📊 연령대별 반려동물 소비 변화

연령대 이용 고객 비중 이용 금액 증가율
30대 23% 31%
20대 22% 7%
40대 22% 23%
50대 20% 39%
60대+ 13% 60%
  • 60대 이상은 전체 고객 비중은 낮지만, 소비 성장률은 가장 높음
  • 특히, 반려동물 용품 지출 77%, 동물병원 지출 57% 증가

💳 어디에 돈을 썼을까?

  • 동물병원 지출이 전체의 75%
  • 반려동물 용품 구매25%

👉 용품보다 건강관리와 진료에 더 많은 비용을 지출
👉 반려동물을 ‘가족’으로 여기고 돌보는 경향이 강해진 결과로 보입니다.

📦 온라인 구매도 대세

  • 반려동물 용품 온라인 구매 비중 64%
  • 3년 전 대비 53% 증가, 오프라인도 27% 증가
  • 고양이 용품 매출은 81% 증가 (강아지는 49%)
    → 고양이 키우는 가정의 지출 증가가 두드러짐

🏥 동물병원도 늘었다

  • 2021년 말: 1만 4천 개
  • 2024년 말: 1만 7천 개 (3,300개 증가)
  • 매출 상위 10% 병원이 전체 매출의 68%
    소수의 대형 병원에 소비 집중 현상도 뚜렷

🎯 무엇을 의미할까?

  1. 고령층의 펫팸화(Pet+Family)가 현실로
    • 은퇴 후의 삶을 반려동물과 함께하며 정서적 안정 찾는 경향 증가
    • 손자처럼, 혹은 친구처럼 반려동물을 돌보는 모습 확산
  2. 반려동물 산업의 고객층이 세대 확장 중
    • 2030에서 5060까지 확대
    • 시니어 맞춤형 서비스 필요성 증가 (실버 견주 전용 앱, 건강케어 패키지 등)
  3. 온라인 중심 소비로 전환
    • 제품 정보 탐색력과 비교 소비가 가능한 온라인 시장에서 고령층의 적응력이 눈에 띄게 향상

□  결론

고령화 사회 속에서 반려동물은 단순한 '애완동물'이 아닙니다.
이제는 삶의 동반자이자, 정서적 안정을 주는 가족 구성원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.
기업과 사회는 이 흐름에 발맞춰 고령층 맞춤형 반려동물 정책과 서비스를 고민할 때입니다.